국민연금 수령액이 내가 받을 금액이 얼마인지 궁금해서 찾으셨나요?
가입기간, 납입 내역, 내 소득에 따라 실제로 받게 될 월 연금액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이 안내에서 그 방법을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납, 가입기간, 연금 인상 팁까지, 실질적인 정보만 모았습니다. 내 연금, 꼭 제대로 챙겨보세요!

1.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 부양가족연금
배우자, 자녀, 부모 등 부양가족이 있으면 추가액이 더해짐.- 배우자: 연 293,580원
- 자녀/부모(1인당): 연 195,660원
- 조견표(예상수령액 표)
국민연금공단에서 제공하는 조견표(납입기간, 평균소득 등급별 예상월액)로 대략 수령액 확인 가능.
2. 국민연금 수령액 높이는 방법
- 가입기간 늘리기
오래 가입할수록 연금액이 커집니다. 가능한 한 장기 가입 유지. - 소득 높이기
납입하는 소득액이 높을수록 수령액도 많아짐(A, B 변수 영향). - 추납제도(추후납부)
과거 소득 없던 기간, 미납/납부예외 기간을 소급 납입하여 기간을 인정받을 수 있음. - 임의계속가입
만 60세 이후에도 자발적으로 납입이 가능해져 추가 가입기간 인정. - 연기연금제도
수령 시작을 미루면 미룬 개월 수마다 연 0.6%씩(최대 36%) 연금액이 증가.
3. 국민연금 평균 및 인상 현황
- 2025년 평균 월 수령액:
66만9523원으로, 지난해(65만4471원)보다 2.3% 인상. - 최고 수령액:
월 296만100원(2025년 기준)
구분 | 2024년 | 2025년 (인상) |
평균수령액 | 654,471원 | 669,523원 |
최고수령액 | 2,893,550원 | 2,960,100원 |
- 물가연동 인상제
해마다 소비자물가 상승분만큼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공적연금이 자동 인상.
기초연금 수급자격 재산, 내 집·예금 있을 때 받을 수 있을까?
4.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법
- 공단 홈페이지 간편계산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서 '예상연금 간단계산' 또는 '내 연금 알아보기' 선택 → 소득과 가입기간 입력으로 조회. - 모의계산 서비스
"국민연금 모의계산" 서비스에서 월 소득과 기간 설정 후 결과 확인 가능. - 공인인증서 로그인
실제 가입 내역 기준 예상치 확인이 필요하면 로그인 후 상세 조회. - 조견표 활용
납입기간과 월 보험료(기준소득)별 예상액 조견표 확인.
5. 국민연금 수령가능 연령
- 출생연도별 수령연령 변화
출생연도 정상 수령 연령 조기 수령 연령 1953~56년생 61세 56세 1957~60년생 62세 57세 1961~64년생 63세 58세 1965~68년생 64세 59세 1969년생~ 65세 60세 ※ 제도 개혁 시점에 따라 수령 연령이 최대 68세까지 단계별 증가 논의 중.
6. 국민연금 미납 및 납입 예외 처리
- 미납 기간 추후 납부(추납제도)
소득 없거나 납부예외였던 기간은 추후에 소급 납입하여 수령액 반영 가능. - 일반 미납은 수급권과 가입기간에 영향
10년 미만 미납분이 남아 있으면 연금 수령 불가, 10년 이상이면 가입기간만큼만 인정하여 수령 여전히 가능. - 납부유예 기간도 추후 납부 가능.
7.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견표
- 공단 제공 표(2024~2025년 상한/하한 기준 적용)
- 하한액: 월 39만 원
- 상한액: 월 617만 원 (2024년 7월 기준)
- 아래 표는 평균소득, 가입기간에 따른 대략 예상치:
가입기간 | 월 평균소득 100만원 | 200만원 | 300만원 | 400만원 | 500만원 | 617만원(상한) |
10년 | 약 22만 원 | 35만 원 | 47만 원 | 60만 원 | 72만 원 | 88만 원 |
20년 | 약 44만 원 | 67만 원 | 90만 원 | 113만 원 | 136만 원 | 158만 원 |
30년 | 약 67만 원 | 100만 원 | 133만 원 | 166만 원 | 199만 원 | 228만 원 |
40년 | 약 89만 원 | 132만 원 | 176만 원 | 220만 원 | 263만 원 | 296만 원 |
※ 실제 조견표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안내서 참고.
8.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꿀팁 요약
- 미납 기간 추후납부 활용
- 만 60세 이후 임의계속가입 또는 임의가입 선택(65세까지 가능)
- 수령 개시 늦추는 연기연금 제도 활용(최대 36% 증액)
- 보험료 체납 기간 소급납부(특정 요건 충족 시)
9. 참고: 국민연금 수령액 인상(물가연동)
- 매년 전년도 소비자물가상승률만큼 자동 인상(2025년, 2.3% 인상).
꼼꼼히 소득·기간 관리하고, 미납/추납 활용, 임의계속가입, 연기연금 등 활용하면 국민연금 수령액을 실질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예상수령액은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에서 소득·가입기간만 입력해 간편 조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