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신청,지원금 총정리

by 오늘의최신정보 2025. 7. 11.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총정리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에 대해 1인 가구 기준, 계산법, 기초연금과의 관계, 부양의무자, 신청 방법, 조건, 조기지급, 주거급여와의 연계, 지급일, 주요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신청 

2025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 (+지원금, 혜택)

1.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및 혜택

지원금, 혜택 지원 내용
생계급여 최저생활비 현금 지급(소득인정액에 따라 차등)
의료급여 진료비 본인부담 경감(1종·2종)
주거급여 임차료, 주택수선비 등 지원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 교과서, 입학금·수업료 등
해산·장제급여 출산 시 70만 원, 사망 시 80만 원
자활급여 자활근로사업 참여 인건비, 자활장려금 등
공공요금 감면 주민세, TV수신료, 전기·통신·상하수도 요금 등 감면
 

2. 1인 가구 생계급여 기준 및 계산

  • 2025년 1인 가구 생계급여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월 765,444원)
  • 지급액 계산법:예시) 소득인정액이 150,000원인 경우
    → 765,444원 - 150,000원 = 615,444원 지급
  •  
    text
    생계급여액 = 생계급여 선정기준(765,444원) – 소득인정액
  • 소득인정액 산정:
    실제 소득(근로, 연금 등) + 재산의 소득환산액(예금, 부동산 등)

▶ 모의계산기 활용

  • 복지로, 엔젤시터 등에서 소득·재산 입력 후 생계급여 대상 및 예상액 확인 가능

3. 기초연금과 생계급여 관계

  • **기초연금(만 65세 이상)**을 받으면, 원칙적으로 생계급여 산정 시 기초연금액이 소득인정액에 포함되어 생계급여가 그만큼 감액됨
  • 정부는 단계적으로 기초연금과 생계급여의 연계 감액을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므로, 향후 일부 금액이 추가 지급될 수 있음

4. 부양의무자 기준

  • 2021년 10월부터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대부분 폐지
    (단, 고소득·고재산 부양의무자 예외 적용: 연소득 1.3억 원, 일반재산 12억 원 초과 시 제외)
  • 의료급여 등 일부 급여에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일부 남아 있음

5. 신청 방법 및 절차

생계급여 온라인 신청

2025 에너지 바우처 신청자격

  • 신청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 신청인: 본인, 친족, 기타 관계인, 사회복지공무원(직권 신청 가능)
  • 필요서류: 신청서, 신분증, 소득·재산 증빙서류 등
  • 처리기간: 통상 30일 내(최대 60일)

6. 주요 조건 및 선정 기준

  •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 이하(1인: 765,444원)
  • 근로능력, 연령 등과 무관하게 소득·재산 기준만 충족하면 신청 가능
  • 일부 제외대상: 보장시설 거주자 등

7. 조기지급(명절 등)

  • 정기 지급일: 매월 20일(공휴일·토요일이면 그 전날)
  • 명절(설, 추석 등)에는 조기 지급: 예를 들어, 추석 전에는 13일에 지급된 사례 있음

8. 주거급여와의 연계

  • 생계급여 수급자는 주거급여도 함께 신청 가능
    (주거급여는 별도 소득기준 적용, 부양의무자 기준 없음)
  • 임차료, 주택수선비 등 지원: 지역·가구원수·주택유형에 따라 차등 지급

9. 지급일

  • 매월 20일 정기 지급(토·공휴일 전날)

 

정확한 급여액, 자격, 혜택은 복지로 모의계산기 및 주민센터 상담을 통해 본인 상황에 맞게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정책 및 기준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니 최신 정보 확인을 권장합니다